< 찾으시는 내용이 있으시면 Crtl + F 를 이용해 검색하시길 바랍니다.>

점프 캐피탈 부회장 "2022년, 크립토가 세계를 지배하기 시작" (coinness.live)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벤처 캐피탈 점프 캐피탈(Jump Capital) 부회장 피터 존슨(Peter Johnson)이 2021년 초 내놓은 비트코인 50,000달러 도달, 스테이블코인 1,000억 달러, ETF 승인, 암호화폐 기업 IPO 및 M&A 증가 등 예측이 올해 대부분 실현됐다. 그는 2022년 암호화폐가 더 널리 채택되며 대부분의 투자자가 어떤 방식으로든 암호화폐 시장에 참여할 것이라면서, 2022년 10가지 예측을 다음과 같이 제기했다.

1.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5000억 달러 달성.

2. USDC, UST가 USDT 제치고 시장 점유율 확대.

3. DAO가 조정 수단으로 기하급수적 성장.

4. DAO 거버넌스 설계 및 인프라 성숙.

5. 빠른 블록체인 성장 지속 및 레이어2 도약

6. 크로스체인 사용성 원활.

7. 금융 기관, 핀테크가 크립토 제품 사용.

8. 게임 제작사, 암호화폐 올인.

9. 크립토가 세계를 지배하기 시작.

10. 기록적인 VC 자금이 크립토에 유입.

코인원, WEMIX, GALA 원화마켓 상장 (coinness.live)

코인원이 12월 29일 오후 6시 위믹스(WEMIX), 갈라(GALA)를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늘 10시 오픈된다.

분석 "올해 레이어1 코인이 상승 주도.. 디파이 영향 (coinness.live)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이더리움(ETH)의 대안으로 떠오른 레이어1 블록체인들이 올해 암호화폐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고 전했다. 블록 리서치(Block Research) 데이터에 따르면 디파이(DeFi) TVL이 연초 161억 달러에서 11월 30일 기준 1014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중 ETH DeFi 점유율은 독점 수준에서 63% 까지 하락했다. 이더리움 수수료가 최고치를 기록하며, 비용이 저렴한 바이낸스스마트체인(BSC), 아발란체(AVAX) 등으로 사용자가 이동했다는 분석이다.

인도 거래소 코인스위치, 올해 이용자 14배 증가 (coinness.live)

인디아타임즈에 따르면 인도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스위치의 이용자가 올 한해 14배 증가했다. 연초 100만명에서 현재 1400만 명으로 늘었다는 설명이다. 1인당 사용 시간과 거래량도 급격하게 증가했다. 코인스위치는 이에 대해 "주로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인스위치의 거래량이 3500% 늘었다"고 설명했다.

中 블록체인 특구 하이난 "암호화폐 발행 및 홍보 활동 엄격 단속" (coinness.live)

중국의 첫 블록체인 특구인 하이난 성 당국이 "블록체인을 앞세워 암호화폐를 발행하거나, 홍보 및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를 엄격하게 단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성 당국은 "지속적으로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하이난 블록체인 특구의 건강한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레이스케일, 1만9297 MANA 추가 매입 (coinness.live)

토큰뷰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오늘 1만9297 MANA를 추가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그레이스케일의 암호화폐 운용 자산 규모는 약 434.55억 달러다.

빗썸 BTT 메인넷 전환 및 토큰스왑 지원 (coinness.live)

빗썸이 비트토렌트(BTT) 메인넷 전환 및 토큰스왑 일정에 따라 오늘 14시 BTT 입출금을 중지한다고 공지했다. 거래 중지는 1월 4일 10시 예정됐다. 토큰 스왑 비율은 기존 BTT : 신규 BTT = 1 : 1,000이다.

'무돌 삼국지' 게임위 경고에도 서비스 재개…P2E 시장 '혼란' (newstomato.com)

뉴스토마토에 따르면 국내 첫 P2E(Play to Earn) 게임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가 정부의 등급분류 취소 판정을 받은 '무한돌파삼국지 리버스(무돌 삼국지)'가 하루만에 서비스를 재개했다. 무돌 삼국지 개발사인 나트리스는 28일 공식 커뮤니티에 “법원의 임시효력정지결정처분에 따라 내년 1월14일까지 무돌 삼국지 서비스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앞서 무돌 삼국지는 지난 27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게임물관리위원회(게임위)의 등급분류 취소 결정에 따라 접속이 차단됐다. 그러나 무돌 삼국지를 서비스하는 나트리스는 소송에 나섰고, 최근 법원이 게임위의 결정 효력을 정지하는 처분을 내리면서 다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원문보기 :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96818&inflow=N

신세계, 서울 옥션에 투자한다···NFT 경매 사업 진출 (coinness.live)

서울경제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이 서울 옥션에 투자하며 예술품 NFT 사업에 진출한다. 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날 신세계인터내셔널과 서울옥션(063170)은 각각 이사회를 열어 신세계인터내셔널의 서울옥션 지분 투자를 확정했다. 금액은 50억~60억 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투자 주체는 신세계인터내셔널 계열 기업주도벤처캐피탈(CVC)인 시그나이트파트너스가 맡는다. 시그나이트는 정유경 신세계 총괄 사장의 남편이자 신세계톰보이 대표인 문성욱 부사장이 대표를 겸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서울옥션의 NFT경매 사업을 눈여겨보고 투자를 결정했다. 서울옥션은 최근 NFT로 제작한 한정판 예술품이나 명품을 온라인 공간에서 비트코인(BTC)로 경매하는 NFT거래 사업에 뛰어들었다. 서울옥션이 만든 서울옥션블루는 지난달 두나무와 손잡고 디지털아트플랫폼 엑스엑스블루(XXBULE)를 열었다.

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4002062

무신사, 오픈씨에 거래 가능한 첫 NFT 래플 진행 (coinness.live)

블록체인밸리에 따르면 온라인 패션 스토어 무신사가 국내 빈티지 캐주얼 브랜드 예일의 한국 마스코트 ‘유니버시티 핸섬 댄’의 첫 번째 NFT(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 기념 래플 이벤트를 진행한다. 무신사가 NFT 래플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당 NFT는 추후 글로벌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에서 거래할 수 있다. 함께 제공되는 여행권은 코로나19로 여행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5년의 유효기간 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항공권 또는 여행 상품, 지역에 제한 없이 금액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원문보기 : https://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173

리얼비전 CEO "기관 비트코인 차익실현 완료된 듯" (coinness.live)

골드만삭스 출신의 유명 매크로 투자자 라울 팔 리얼비전 CEO가 최근 The Stakeborg Talks 인터뷰에서 기관 차익실현이 최근 비트코인 하락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기관의 매도 물량이 모두 소화 완료됐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아시아에서 추가 매도가 있을 수 있지만 기관 자본 재배치로 내년 암호화폐 시장이 강력한 상승장으로 출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썸씽, 딥휴먼 AI컬처 테크 기업 ‘클레온’과 업무협약 체결 (coinness.live)

블록체인 기반 소셜 노래방 앱 썸씽이 가상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는 ‘딥휴먼’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클레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딥휴먼은 딥러닝을 활용해 사진 1장과 음성 30초만으로도 가상 인간 캐릭터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기술썸씽의 김희배 대표는 “클레온의 딥휴먼 기술을 적용하여 모바일 서비스의 주력 소비층인 MZ세대가 추구하는 ‘멀티페르소나’ 트렌드에 맞춰 썸씽에서도 사용자들이 일명 ‘부캐’를 생성, 콘텐츠 창작을 하게 할 것"이라며 “영상 콘텐츠 제작 시에도 사용자들이 가상캐릭터를 생성해 다른 사용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도록 하고 이를 비영상으로 가창한 노래콘텐츠에 적용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가상캐릭터 IP 확보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케인 리서치 "내년 리플, 에이다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듯" (coinness.live)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케인 리서치가 2022년 암호화폐 시장 전망을 내놨다.

-비트코인, S&P500지수 상승률 상회: 올해 비트코인은 73%, S&P500은 28% 상승

-리플(XRP), 카르다노(에이다)는 10위권 밖으로 이탈: NFT 열풍과 함께 솔라나, 테라 같은 알트코인 시가총액이 증가할 것

-대체 레이어1 블록체인, 계속해서 이더리움(ETH) 능가: 루나, 팬텀 올해 각각 14823%, 13549% 상승

-게임사 NFT 도입 가속화

-더 많은 암호화폐 기업 상장 러시, 이중 일부 기업 가치는 50억달러 상회 전망

-비트코인 ETF, 2022년 말까지 100만 BTC 이상 보유할 것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지리적으로 더욱 분산: 현재 미국, 카자흐스탄, 러시아 순. 내년 라틴아메리카 등으로 더욱 분산될 전망

스테픈 스니커즈 #5 NFT, 99 SOL에 판매... 역대 최고가 (coinness.live)

솔라나(SOL) 기반 '무브투언'(move2earn) NFT 게임 스테픈(STEPN)의 스니커즈 #5 NFT가 역대 최고가인 99 SOL에 판매됐다. 1만7600달러 상당이다.

바이비트, 런치패드 프로젝트 KASKA 출범 예정 (coinness.live)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신규 런치패드 프로젝트인 ‘카스카(KASKA)’를 한국시간 12월 31일 오전 9시 출범한다. KASTA는 암호화 결제 플랫폼 Kaska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빠르고 간편한 P2P 암호화 거래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런치패드 프로젝트도 BIT 토큰을 기반으로 한 청약 형식이며 총 공급량의 1.67%인 2500만 KASKA 토큰이 지급될 예정이다. 스냅샷 기간은 한국시간 12월 31일 오전 9시부터 1월 5일 오전 8시 59분이다.

서울시 체납세 2천억 징수‥비트코인·영치금 등 첫 압류 (coinness.live)

MBC에 따르면 서울시가 올해 가상화폐 거래소 3곳을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를 보유한 고액체납자 1566명을 찾아냈다. 즉시 압류 가능한 676명의 가상화폐를 시가 압류했다. 비트코인 압류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중 118명이 체납세금 12억6000만원을 즉시 냈다. 세금을 낼 테니 가상화폐 매각을 보류해달라는 체납자의 요청이 이어지면서 시는 고액체납자로부터 총 23억원을 거둬들였다. 올해 체납 세금 총 징수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 28일 기준 징수액은 2236억원이다.

원문보기 : https://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6328133_34873.html

하이닷컴, 향후 10개 이상 신규 게임 출시 예정 (coinness.live)

하이달러 운영사 하이닷컴(hi.com)이 하이 플라이어스에 이어 향후 10개의 신규 게임을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게임들은 플레이어들에게 블록체인 기반의 인센티브를 제공, 하이 디지털 자산의 실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NFT 메타버스 게임 와레나, 1월 바이낸스 NFT 플랫폼서 미스터리박스 출시 (coinness.live)

NFT 메타버스 게임 프로젝트 와레나(RENA)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내년 1월 바이낸스 산하 바이낸스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NFT 미스터리박스를 독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RENA는 현재 4.87% 내린 1.5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코인원 이용자, 1월부터 메타마스크로 출금 못해 (coinness.live)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코인원이 자사에 사전 등록된 외부 지갑 주소으로만 출금을 허용하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는 메타마스크처럼 이름,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없이도 생성할 수 있는 개인지갑으로 가상자산을 보낼 수 없게 된다. 등록된 지갑으로만 출금을 허용하는 화이트리스트 제도다. 이는 NH농협은행과 원화 입출금 실명계정 계약 체결 시 합의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수리 후 60일 내 솔루션을 적용' 조건을 이행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트래블룰은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송·수신인의 정보를 금융당국에 보고하는 제도로, 가상자산사업자는 100만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주고받는 이들의 이름과 지갑 주소를 확인해야 한다.

원문보기 :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686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