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장현국 "코인 먹튀?…왜 황금알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겠나" : 네이버 뉴스 (naver.com)
위메이드가 자사가 발행하는 가상화폐 '위믹스'를 단기간 대량 매도하면서 '코인 먹튀' 논란이 일자 장현국 대표가 "왜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겠느냐"며 해명하고 나섰다.
장 대표는 12일 유튜브 ‘알고란’ 채널에 출연해 "앞으로 더 커질 비전이 있는데 먹튀를 한다면 모를까 당장에 이득을 보려고 대량으로 매도한다는 건 논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장 대표는 이어 "발행된 10억개의 코인 중에서 83%를 회사가 갖고 있다"라며 "블록체인을 간단히 설명할 때 여러 개의 장부가 있어서 위변조가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그래서 누구나 그 장부를 볼 수 있다. 위믹스 역시 마찬가지다. 블록체인에선 숨기는 게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위믹스 매도 시 사후공시를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회계상 ‘무형자산’으로 분류되는 가상화폐의 처분은 의무 공시 대상이 아니다. 장 대표는 "이번에 (위믹스 매도가) 민감한 정보라는 것을 깨달았다"라며 "기업의 활동을 하나 하나 알리기엔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구체적인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알리는 방법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1년 4분기 실적을 공시할 때부터 위믹스 물량에 대해서도 공시할 것"이라고 했다.
장 대표는 향후 매도 물량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거래소에 상장을 할 때 토큰을 어떻게 유통망에 릴리스할 것인지 스케쥴을 제출해야 한다"라면서 "저희 잡고 있는 릴리스 스케쥴은 대략 한 달에 1000만 개 정도, 1% 수준"이라고 했다.
장 대표는 "위믹스를 믿고 생태계에 참여해준 분들, 위메이드의 비전을 믿고 주신을 사준 분들이 있었기에 꿈을 이루기 위한 전략을 실행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분들을 포함해서 우리 모두 잘 되기 위해서 이러한 일들을 하고 있다. 위믹스 생태계 구축 역시 마찬가지다. 더욱 큰 비전을 이루기 위한 행보인 만큼 이해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1일부터 위메이드가 위믹스를 대량 매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날 위믹스 장중 가격은 30% 가까이 떨어졌다. 위메이드 주가도 전날 8.84% 급락한 13만8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위메이드가 예고 없이 위믹스를 대량으로 처분해 투자자들을 골탕 먹인 것 아니냐는 일부 언론 보도가 나왔고, 투자자들 역시 아무런 사전 예고 없이 물량을 시장에 떠넘기는 행위는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전문가 "CPI 지수 대체로 시장 예상 부합...달러 하락으로 이어져" (coinness.live)
방금전 발표된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대한 미국 주요 투자 기관들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이번 CPI 지수는 시장의 예상에 대체로 부합했다. 단 전년 대비 상승폭은 미연준에 여전히 정치적 압력을 주고 있다. 이는 연준이 더 빠르고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하도록 압박하고 있다(알리안츠)
2.이번 물가 지수 발표전 시장의 우려가 상당히 컸다. 그러나 발표된 수치가 예상과 대체로 부합한다(살짝 높았으나)고 볼 수 있다. 이는 미 달러화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포렉스 라이브)
3. 근원 CPI지수는 예상을 상회했다. 그러나 시장의 첫 반응은 미 달러 지수 하락으로 이어졌다. 미 달러 지수는 95.50 지지선이 무너지고 11월 말 저점까지 내렸다(Fxstreet)
4.이번 인플레이션 상승과 80년대 초 인플레이션은 크게 다르다. 당시는 수십년간의 임금 상승과 정책에 의한 물가 상승이었다. 정부의 통화 완화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은 맞지만 이전의 인플레이션과 상당히 다르다(바클레이 은행)
나랏돈으로 비트코인 투자 엘살바도르 대통령…"14% 손실 추산" (getnews.co.kr)
전 세계에에서 처음으로 암호화폐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중미 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 투자가 10% 넘은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됐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지난해 9월경부터 정부 돈으로 비트코인을 사들였다. 법정통화 도입 전날인 9월 6일 비트코인 200개를 구매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에도 몇 차례 '저가 매수' 기회라며 추가 매수 소식을 전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정확한 비트코인 매수 시점과 단가 등을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블룸버그는 부켈레 대통령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내용을 토대로 최소 1391개의 비트코인을 사들였다고 계산했다. 트윗 시점의 비트코인 가격으로 계산하면 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 평균 매수단가는 5만156달러로, 총 매수 비용이 7100만 달러일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추산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4만 달러대로 떨어졌기 때문에 12일 시세 기준 비트코인 1391개의 가격은 약 6100만 달러 수준으로, 매수 금액 대비 14%인 약 1000만 달러(120억원)의 손실을 기록 중인 셈이다. 다만 대통령 트위터를 통해 공개된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한 것이라 정확한 추정은 아니다.
알레한드로 셀라야 엘살바도르 재무장관은 최근 정부가 보유 비트코인의 일부를 다시 달러로 전환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40세의 부켈레 대통령은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우려와 자국 내 부정적인 여론에도 비트코인 법정통화 채택을 강행하고, '비트코인 띄우기' 행보를 이어갔다.
화산 지열로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세계 첫 '비트코인 도시' 건립 구상과 비트코인 채권 발행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 같은 남다른 경제 정책이 불확실성을 키우면서 엘살바도르 국채 가격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면서도 관련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도 비판이 나온다.
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
파키스탄 중앙은행·연방정부 "암호화폐는 불법... 전면 금지 의견 제시" (coinness.live)

외신 "14일 7.5억 달러 규모 BTC 옵션 만기...중립 관점 우세" (coinness.live)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14일 비트코인 옵션 시장에서 약 7.5억 달러 규모의 옵션이 만기 도달한다. 다만 현재 옵션 시장 내 콜풋 옵션은 균형을 맞추고 있어, 트레이더들은 중립 관점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13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만기 시점(14일 17시)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42,000 달러 하방에서 거래된다면, BTC 풋옵션 구매자들은 약 7,500만 달러의 순이익을 가져갈 수 있다. 얼핏 보기에 4.55억 달러 규모의 콜옵션 규모가 2.95억 달러의 풋옵션 규모를 압도하는 것 같지만 1.56의 콜투풋 비율은 안심할 수 있는 수치가 아니다. 매수세가 적당한 우세를 잡기 위해서는 BTC 46,000 달러선 회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만기 시점 BTC 가격에 따라 활성화 되는 콜 및 풀 계약의 물량은 다음과 같다.
-4만~4.3만 달러: 480 개 콜옵션 계약. 2,200 개 풋옵션 계약
-4.3만~4.4만 달러: 1,390 개 콜옵션 계약. 1,130 개 풋옵션 계약
-4.4만~4.6만 달러: 1,760 개 콜옵션 계약. 660 개 풋옵션 계약
-4.6만~4.7만 달러: 1,220 개 콜옵션 계약. 520 개 풋옵션 계약
글로벌 패션 브랜드 갭, NFT 컬렉션 출시 (coinness.live)

뱅크오브아메리카 "SOL, ETH 시장 점유율 가져올 수도" (coinness.live)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올해 클레이튼 벗어나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 고려” : 네이버 뉴스 (naver.com)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현재 쓰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벗어나,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위메이드 블록체인 게임의 기반이 되는 ‘위믹스’ 블록체인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서비스체인이다.
◆위믹스는 클레이튼의 '서비스체인'…클레이튼 택한 배경은?
12일 장 대표는 유튜브 채널 알고란 TV에 출연해 클레이튼을 택한 배경을 밝혔다. 그는 “클레이튼을 쓴다고 해서 글로벌화에 큰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업을 시작하던) 당시(2018년) 인력이없어서 운영비용이 낮고 국내 프로젝트인 클레이튼을 사용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의 플랫폼인 만큼 개발 팀과의 소통이 원활하고, 적은 인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클레이튼을 택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위메이드는 여러 게임을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에 온보딩하고 있다. 때문에 위믹스는 위메이드가 개발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즉 ‘메인넷’ 플랫폼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기술적으로는 클레이튼에 종속된 서비스체인이다.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메인넷’ 플랫폼이다.
서비스체인은 클레이튼이 도입한 개념으로, 콘셉트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사이드체인과 비슷하다. 다만 커뮤니티가 개발을 주도하는 이더리움과 달리, 클레이튼의 경우 기업이 개발을 주도한다. 때문에 서비스체인은 다른 기업용 고객에 최적화된 게 특징이다.
이더리움에서 사이드체인은 기존 이더리움(메인체인)에 붙어있는 하위 블록체인을 말한다. 사이드체인에서 대부분의 거래를 처리하고, 중요 정보만 메인체인에 저장하게 된다. 거래 속도를 높이고 수수료를 낮출 수 있다.
클레이튼의 서비스체인도 기본 개념은 비슷하나, 클레이튼 측은 메인체인과 분리된 독립적인 보조 블록체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서비스체인은 해당 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되는 서비스에 맞게 노드(네트워크 참여자) 설정이 가능하다. 즉 프라이빗 블록체인 형태로 할 것인지, 프라이빗에 비해 노드가 더 많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형태로 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 위믹스의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퍼블릭 성격을 넣은 하이브리드 구조다.
◆글로벌 진출 시 매력도 낮아…장현국 "새로운 플랫폼 고려"
서비스에 맞춤형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글로벌 진출에 있어 클레이튼은 매력 있는 플랫폼이 아니다. 유명 블록체인 게임인 엑시인피니티나 더샌드박스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다.
또 최근에는 폴리곤, 솔라나 등 다른 플랫폼이 부상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느린 거래속도나 비싼 거래 수수료 등 문제를 해결한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다.
블록체인 업계에선 어떤 블록체인 플랫폼을 택하는지에 따라 커뮤니티가 조성된다. 커뮤니티는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로 이어진다. 클레이튼의 경우 다른 플랫폼에 비해 글로벌 커뮤니티가 크지 않다. 위믹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생태계를 넓히려면 클레이튼에 종속되는 게 불리할 수 있다.
장 대표 역시 이 같은 지적을 수용했다. 그는 “(블록체인 사업을 시작하던 때와 달리) 지금은 인력 규모가 커졌다”며 “올해 안에 새로운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에서 (위믹스 플랫폼을) 돌아가게 하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138&aid=0002116997
코인베이스, 파생상품 거래소 페어엑스 인수 계획 (coinness.live)

KTB證 "위메이드, 위믹스 매도는 예정된 것…게임 투자 성과가 핵심" (coinness.live)
뉴스1에 따르면 KTB투자증권은 13일 위메이드에서 발행하는 암호화폐인 위믹스 가치 상승을 위해서는 온보딩 게임사 투자에 대한 성과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위메이드에 대한 투자의견은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김하정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위믹스는 발행 당시 백서에서 밝힌 대로 월 1000만개(암호화폐 공개 당시 발행량 10억개의 1%)가 지속적으로 시장에 릴리스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의 인터뷰에 따르면 위믹스 릴리스 자금의 주요 투자처는 위믹스에 온보딩될 게임사에 대한 투자"라면서 "위믹스 매도 자금을 위믹스 생태계에 재투자함으로써 위믹스 가치와 위믹스 생태계 성장의 선순환을 의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위믹스의 3가지 주요 활용처(인게임 토큰 환전·디파이·NFT 마켓) 중 디파이는 위믹스 가치와 직접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온보딩 게임에 대한 투자는 온보딩된 게임 내 수요가 증가해야만 위믹스 가치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결국 온보딩 게임사 투자에 대한 성과는 위믹스 생태계 내에서 높은 과금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게임이 나타나야만 논란이 해결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원문보기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841660
롯데홈쇼핑, 내년 메타버스 플랫폼 연다…NFT 사업도 추진 (coinness.live)
연합뉴스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이 이달 중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며 내년 중 통합 플랫폼을 열 예정이다. 오는 4월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상모델, 가상패션 등 자체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NFT 콘텐츠를 실물 상품과 연계해 판매하는 NFT 마켓플레이스도 열 계획이다. 또 라이브 커머스를 3차원 가상 세계에서 구현해 아바타를 통해 상품과 브랜드 체험이 가능한 '메타라이브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4월 예정된 롯데홈쇼핑의 대형 쇼핑행사인 '광클절'에서 XR 기반의 쇼핑 콘텐츠도 선보인다. 10월에는 메타버스를 통한 채용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출 상담회에 메타버스 전시관도 운영할 예정이다.
원문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3029500003?input=1195m
코인베이스 프로, INV·LQTY·NCT·PRO 상장 (coinness.live)
코인베이스가 코인베이스 프로에 Inverse Finance(INV), Liquity(LQTY), Polyswarm(NCT), Propy (PRO)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태평양 표준시(PT) 기준 1월 13일 9시 거래가 시작된다.
플레이댑, 공게임즈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coinness.live)
로이슈에 따르면 플레이댑이 공게임즈와 손을 잡고 스포츠게임을 활용한 멀티호밍게임 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스포츠게임 장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멀티호밍 게임을 공동 개발하여 글로벌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멀티호밍 게임’ 이란 사람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손쉽게 이동하며 이용하는 현상인 ‘멀티호밍’과 ‘게임’을 합성시킨 신조어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켜 게이머의 이용기록을 다른 게임 및 메타버스,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게임을 뜻한다.
원문보기 : https://ccnews.lawissue.co.kr/view.php?ud=202201131110597530204ead0791_12
바이프로스트 기반 P2E 게임 서머너, NFT 퍼블릭 민팅 시작 (coinness.live)

서울시, 행정에 메타버스·블록체인 등 신기술 적극 도입...올해 3,459억 투자 (coinness.live)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서울시가 올해 1,067 건의 정보화 사업에 총 3,459억원의 예산을 집중 투자한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는 메타버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행정 서비스에 도입해 '디지털 대전환'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시의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가칭) 구축 △공공 빅데이터 수집수집·분석·표출하는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AI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 고도화 △스마트 횡단보도 인프라 구축 △정부 발금 100여종 증명서를 보관·활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울지갑 앱' 서비스 범위 확대 등이 대표적이다.
원문보기 : https://www.fnnews.com/news/202201130757454178
뉴욕에 NFT 멤버십 회원만 받는 레스토랑 개업한다 (coinness.live)
뉴욕 소재 레스토랑 플라이피시 클럽(Flyfish Club)이 NFT 홀더만 손님으로 받을 예정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레스토랑은 2023년 초 오픈 예정이다. 멤버십에는 2가지 유형이 있다. 레귤러 티어(일반 등급)은 메인 다이닝룸, 야외 공간, 칵테일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회비는 2.5 ETH다. 플라이피시 오마카세 티어는 모든 시설, 이벤트 이용이 가능하고 14석의 오마카세 룸도 이용 가능하다. 연회비는 4.25 ETH. 플라이피시 멤버십 NFT 홀더는 토큰을 월 단위로 임대하거나 리세일할 수도 있다.
썸씽, 세번째공간과 결제 서비스 제휴 (coinness.live)
세번째 공간(3space Art)이 소셜 노래방 앱 썸씽에서 사용되는 SSX 토큰을 자사 플랫폼의 디지털 아트 NFT 구매를 위한 결제수단으로 추가한다고 13일 전했다. 세번째공간은 디지털 아트 NFT 거래플랫폼으로, 국내 아티스트들이 창작한 작품을 클레이튼과 이더리움기반으로 NFT화하여 전시 및 판매하고 있다.
빗썸 ‘이정훈’ 공판에서 경영 직접 개입 증언 나와 (coinness.live)
경인매일에 따르면 빗썸 이정훈 전 의장이 의장직을 내려놓은 다음에도 빗썸 경영을 사실상 계속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정훈 전 의장은 1600억 원대 BXA코인 관련 사기 혐의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고 있다. 11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재판장 허선아)가 진행한 4차 공판에서 증인으로 참석한 빗썸 전직원 A씨는 증인신문을 통해 "층수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B빌딩 6층 회의실에 피고인(이정훈)이 별도로 사용하던 사무실이 있었고 도어락을 걸어 잠그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재판장이 "피고인(이정훈)이 직접 빗썸 직원에게 업무지시를 한 것을 보았나"라고 묻자 A씨는 "관리자급 직원이 드나드는 것을 봤다. (이정훈 사무실) 옆이 회의실이었다"고 했다. 5차 공판은 1월 25일 속개된다.
원문보기 :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978
업비트 스테이킹 서비스 오픈..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지원 (coinness.live)
업비트가 오늘부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오픈, 첫번째 스테이킹 지원 디지털 자산으로 이더리움 2.0 스테이킹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예상 연 보상률은 5.1%다. 1회차에서 640 ETH를 모집한다. 모집기간은 1/14 10시~1/21 10시다. 최소신청수량은 0.02 ETH고, 최대신청수량은 50 ETH다.
국내 NFT 카드 게임 '실타래' 오늘밤 2·3차 민팅 진행 (coinness.live)
뉴시스에 따르면 클레이튼 기반의 국내 P2E 트레이딩 NFT 카드 게임 실타래가 오늘밤 2·3차 민팅을 진행한다. 2차 민팅은 13일 오후 9시에 진행 예정이며 발행수량은 1000개, 필요한 클레이튼은 300개다. 2차 민팅 역시 민팅 시작 시점으로 메타콩즈를 1개 이상 보유한 지갑 보유자만 민팅에 참여할 수 있다. 3차 민팅은 2차 민팅 후 1시간 뒤인 13일 오후 10시에 예정돼 있으며 메타콩즈 보유자가 아닌 경우도 참여할 수 있다. 예정된 발행 수량은 총 7500개, 필요한 클레이튼은 600개이며 더치옥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앞서 실타래는 12일 오후 10시 첫 NFT 민팅을 실시했다. 올해 1분기 내 게임 출시를 앞둔 실타래는 5개 카드를 확보해 상대방과 대전을 펼치는 트레이딩카드게임(TCG)형태 P2E게임이다.
원문보기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113_0001723515&cID=10401&pID=10400
美 디지털상공회의소 회장 "미연준, 암호화폐 분야서 뒤처져 있다" (coinness.live)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미국 디지털상공회의소의 페리안 보링(Perianne Boring) 회장이 최근 인터뷰에서 미 연준(Fed)의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이미 수백억 달러 상당 스테이블코인이 유통되고 있다"며 "그럼에도 연준은 블록체인 전략 개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이해 등 부분에서 미흡하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접근 방식은 민간 부문과 협력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라며 "아직은 미국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디지털상공회의소는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산업을 대표하는 무역 협회다.

'신문 & 뉴스 > 코인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T! 코인뉴스! - 1월17일 (2) | 2022.01.17 |
---|---|
HOT! 코인뉴스! - 1월11일 (1) | 2022.01.11 |
HOT! 코인뉴스! - 1월10일 (1) | 2022.01.10 |
1월 7일 HOT 코인뉴스! (2) | 2022.01.07 |
1월 6일 HOT 코인뉴스! (1) | 2022.01.07 |